법규를 무시하며 도로를 위험천만하게 누비는 택시들은 모든 운전자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다. 본래 택시는 서비스업이며 나라와 도시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교통수단인 만큼 이용하는 승객들은 물론 다른 운전자들에게도 모범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택시들은 이러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듯하다.
택시를 직접 이용하는 승객들뿐만 아니라 함께 도로를 달리는 다른 운전자들 입장에서도 택시 때문에 눈살이 찌푸려지고 가슴을 쓸어내리게 되는 상황은 빈번하게 일어난다. 차선을 이리저리 걸치고 달리거나 방향지시등을 켜지 않고 무리하게 끼어드는 것은 기본이며, 승객을 태우기 위해 후방 차량을 무시하고 급정거 해버리는 위험한 상황도 쉽게 마주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출퇴근 시간이나 혼잡한 도심에서 차로 하나를 막고 정차해 있는 택시들은 교통정체의 큰 주범이 된다.
무엇이 택시를 도로 위의 무법자로 만드는 것일까? 택시공급 과잉, 사납금 체계 등 운송사업 전반에 걸친 불안정한 구조 때문에 불가피하게 법규를 위반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지만, 그런 주장은 안전하게 운행하는 일부 선량한 택시기사들까지 욕되게 하는 변명에 불과하다.
가장 큰 문제는 운송사업자에게 관대하고 느슨한 법률이다. 택시들의 난폭운전과 법규위반 등에 대한 신고가 접수된다 해도 안전운전 의무 위반에 의거해 대부분 과태료와 벌점 같은 솜방망이 처벌로 끝난다. 또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는 난폭운전의 개별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조항이 없으므로 법인 택시의 경우 소속회사 통보에 그치고 만다.
경찰의 소홀한 관리와 단속도 미흡한 수준이다. 일례로 각 지역 기사식당에 가보면 많은 택시기사들이 식사와 함께 술을 마시고 있는 모습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상 경찰의 음주단속에서 대부분의 택시는 제외된다. 경찰이 보는 바로 앞에서 법규를 위반해도 내버려두는 경우 또한 비일비재하다. 결국 규제 없는 사회가 오늘날 택시라는 무법자들을 양성해내는데 한몫 거들고 있는 셈이다.
택시로 인한 시비나 난폭운전에 따른 피해 사례는 물론, 실제 사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대다수 택시들의 개념 없는 운전 때문에 도로를 달리는 운전자들이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결코 만만치 않다. 우리나라가 도로교통 분야의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 운전자들의 법규 준수와 솔선수범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택시요금 인상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다. 지금의 상황과 달리 요금이 오르는 만큼 기사들에게 금전적인 혜택이 돌아간다 해도 그들이 교통법규를 철저히 지키고 안전운전을 하며 다른 운전자들의 모범이 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결국 처우개선보다 의식개선이 먼저다.
“택시해서 먹고살기 힘드니 이해해 달라”는 흔한 변명이 전혀 공감되지 않는 이유는, 택시가 아닌 다른 차량 운전자들도 대부분 먹고살기 힘든 와중에 운전대를 잡기 때문이다. 돈을 많이 벌건 적게 벌건, 경차를 타던 대형차를 타던 누구나 먹고사는 것은 힘들다. 더군다나 택시기사보다 힘들게 일해서 먹고사는 사람들도 우리 사회에는 수두룩하다. 택시니까 얌체운전 난폭운전을 해도 된다는 논리는 오직 그들만의 이기적인 잣대에서 비롯된 착각일 뿐이다.